
[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카카오가 '챗GPT 포 카카오'와 자체 온디바이스(장치 탑재) 인공지능(AI) 모델 '카나나'를 동시에 내세워 AI 에이전트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통해 AI 접근성을 극대화하고 단순 검색을 넘어 실제 과업까지 실행하겠다는 포부다.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는 28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에서 열린 '카카오 프레스 싱크업 데이'에서 "챗GPT 포 카카오는 기존 AI 에이전트 서비스들과 달리 카톡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접근하기 쉽다"며 "업무 목적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가볍게 정보를 검색할 때 AI를 활용하는 새로운 사용 패턴이 형성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부터 카톡 이용자는 채팅 탭 상단에 생긴 챗GPT 버튼을 눌러 챗GPT 포 카카오를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챗GPT 계정 연동 또는 카카오톡 계정으로 가입할 수 있다. 챗GPT의 유료 버전과 기능 및 쿼터는 동일하게 보장된다. 챗GPT의 답변 및 이미지 콘텐츠를 카카오톡 채팅방에 공유하거나 채팅방 대화 내용을 챗GPT에 전달해 질문하는 상호 공유 기능도 지원한다.챗GPT 포 카카오의 차별점은 AI에이전트인 '카카오 툴즈'를 활용한 '액션 완결 경험'에 있다.카카오 툴즈는 카카오맵, 카톡 예약· 선물하기, 멜론 등 카카오 그룹 주요 서비스를 챗GPT와 연결해 준다. 예컨대 챗GPT 포 카카오에 "홍대 근처 태국 식당을 찾아달라"고 하면 카카오맵이 구동되고 예약까지 된다. 2026년부터 순차로 외부 서비스도 적용할 계획이다
해당 게시물에 음란물(아동 포함), 도박,광고가 있거나 바이러스, 사기파일이 첨부된 경우에 하단의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단, 정상적인 게시물을 신고할 시 사이트 이용에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yang120 님의 최근 커뮤니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