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의 아이폰 17 시리즈 판매와 인공지능(AI) 호황에 힘입어 삼성과 LG 계열 부품사들이 올해 3분기 좋은 실적을 거뒀다. LG디스플레이(034220)는 애플에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공급 물량을 확대해 40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을 거두고 연간 흑자전환을 예약했다. LG이노텍(011070)도 아이폰 17 시리즈의 프리미엄 카메라 모듈 공급을 확대하면서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한 영업이익을 거뒀다.
삼성전기(009150)는 AI 호황에 따른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와 반도체 패키지 기판 공급이 확대되며 두 자릿수 이상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1조 원대 영업이익을 이어갔다.
1일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올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6조 9570억 원, 영업이익 4310억 원을 잠정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3383억 원)를 웃돌며 흑자 전환했다.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3485억 원으로 지난 2021년 이후 4년 만에 흑자 전환이 확실시된다. 총매출에서 OLED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65%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제품별로는 TV용 패널 16%, IT용 패널(모니터·노트북 PC·태블릿 등) 37%,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39%, 차량용 패널 8%다.
애플 공급이 확대된 점이 실적 개선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애플워치용 OLED 패널을 병행 공급했던 일본 재팬디스플레이(JDI)가 사업을 접으면서 LG디스플레이가 공급을 독식하게 됐다.
애플이 지난달 출시한 아이폰 17 시리즈도 이전 시리즈 대비 판매량이 대폭 증가하면서 모바일 OLED 패널 매출도 확대됐다. 과거 애플향 모바일용 OLED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을 독점했지만, LG디스플레이가 공급망에 참여하면서 점차 물량을 늘려가고 있다. 특히 아이폰 17 시리즈에는 프리미엄 라인뿐 아니라 기본형 제품에도 LTPO(저온다결정산화물) OLED 패널이 탑재되면서 물량 증가를 견인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3분기 매출 8조 1000억 원, 영업이익 1조 2000억 원의 견조한 실적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00억 원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100억 원(20.5%) 감소했다.
					해당 게시물에 음란물(아동 포함), 도박,광고가 있거나 바이러스, 사기파일이 첨부된 경우에 하단의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단, 정상적인 게시물을 신고할 시 사이트 이용에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ㅇㅅㅎ04 님의 최근 커뮤니티 글.